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Tags 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청봉(秀)의 작은 공간입니다.

[스크랩] 산수회 산행안내 - 2014.5.17(토) 9시 북한산 14성문 일주 본문

비밀방/Mountain-climbing

[스크랩] 산수회 산행안내 - 2014.5.17(토) 9시 북한산 14성문 일주

청봉(秀) 2014. 5. 13. 12:51

1. 산행지    :  북한산 14성문 일주

2. 산행코스 :  8 h (대서문-중성문-가사동암문-부왕동암문-청수동암문-대동문-대남문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-대성문-보국문-용암문-위문-북문-시구문-수문지)

 

3. 교 통      :  5/17(토) 9시 북한산성탐방지원센타 집합 (북한산성입구bus에서 쭉 들어와 마지막 주차장 위)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독립문역1출(중앙차선), 불광역2출(중앙차선), 구파발역2출에서 704번 환승하여 북한산성입구 하차

4. 기 타     :  각자 먹을 것, 바람막이 준비  -  중간 합류팀 환영     

 

--------- 참고 자료 --------

북한산 14성문 일주 산행

 

 

북한산 14성문 해설

 

① 대서문(大西門)

 의상봉(義相峯) 서북쪽 해발 150m 높이의 낮은 구릉지에 위치한 성문으로 북한산성 성문 중 동서남북, 4개 방위중 서쪽을 대표하고 있는 성문   인 동시에 북한산성의 정문(正門)입니다.    지금의 문루(門樓)는 1958년에 당시 경기도 지사였던 최헌길이라는 분의 주도로 복원된 것이라고 합니다.

 

② 가사당암문(袈裟堂暗門)

의상봉(義相峯)과 용출봉(龍出峯) 사이 산능선 해발 488m 지점에 위치한 성문으로서 부근 산성 안에 국녕사(國寧寺)가 있다고 하여 국녕문(國寧門) 또는 국령사암문(國靈寺暗門)으로 불리기도 했답니다.

※ 암문(暗門)이란 노출을 꺼리는 출입통로로 출입문위에 문루(門樓)를 세우지 않고 눈에 띄지 않게 몰래 출입 할 수 있도록 만든 문입니다. 성안에 필요한 병기 및 식량 등을 운반하고 적에게 포위당했을 때 극비리에 구원을 요청하거나 적을 역습할 때 이 통로를 사용한답니다. 참고로 현재 북한산성에는 모두 7개의 암문(暗門)이 남아있습니다.

 

③ 부왕동암문(扶旺洞暗門)

나월봉(蘿月峯)과 증취봉(甑炊峯) 사이 산 능선 해발 521m 지점에 위치한 성문으로 북한산성의 7개 암문(暗門)중 가장 규모가 크고 정식 홍예(虹霓)는 아니지만 위쪽 성 돌을 둥글게 파서 홍예문(虹霓門)처럼 만든 아름다운 성문입니다. 최근까지 성문 우측에 '소남문'이라는 현판이 붙어 있었듯이 이 암문(暗門)은 처음에는 소남문(小南門)으로 불렸던 것으로 추정되며 근처에 원각사(圓覺寺)가 있었기 때문에 원각사암문(圓覺寺暗門)이라고도 불리기도 했답니다. 그리고 부왕동(扶旺洞)이란 이름은 성안 동쪽에 있는 부왕사(扶旺寺)로 내려가는 계곡 일대를 일컫던 이름으로 보입니다.

※ 홍예(虹霓)란 성문 얼굴의 윗머리가 무지개같이 반원형(半圓形)이 되게 만든 구조물 또는 그러한 구조로 만든 문 즉, 홍예문(虹霓門)을 말합니다.

 

④ 청수동암문(靑水洞暗門)

문수봉(文殊峯)과 나한봉(羅漢峯) 사이 해발 694m 에 위치한 성문으로 산성주능선과 의상능선 그리고 비봉능선으로 향하는 갈림길이 나있습니다.

 

⑤ 대남문(大南門)

북한산성 성문 중 동서남북, 4개 방위중 남쪽을 대표하고 있는 성문으로 처음 축조 당시는 문수봉암문(文殊峯暗門)으로 불렸던 성문입니다. 해발 715m 의 보현봉(普賢峯)과 해발 727m 의 문수봉(文殊峯)이라는 두 거봉을 잇는 해발 663m 능선 한가운데 안부(鞍部)에 위치 해 있습니다.

 

⑥ 대성문(大城門)

보현봉(普賢峯) 동북쪽으로 이어지는 산성 능선 해발 625m 지점에 위치한 성문으로 북한산성 성문 가운데서 가장 큰 문입니다. 원래 처음에는 소동문(小東門)으로 불리는 작은 암문(暗門)이었으나 성문 위치가 문 북쪽 기슭 행궁(行宮)이 있는 곳에서 이곳을 통과하여 형제봉과 보토현(輔土峴-현재 북악터널 위쪽)을 경유하여 경복궁으로 이어지는 편리한 코스에 위치하고 있어서 임금이 이문을 출입하게 됨으로써 뒤에 성문을 더욱 성대하게 개축하여 임금이 출입하는 성문으로 위용을 갖추고 이름도 대성문(大城門)으로 바꾼 것이 아닌 가 추측된답니다.

※ 행궁(行宮)이란 임금이 국도(國都)의 왕궁 밖에서 머물던 별궁(別宮)으로 북한산성 내 행궁은 산성을 축조하던 조선 숙종37년(1711년)에 지어졌답니다.

 

⑦ 보국문(輔國門)

정확한 본래 이름은 동암문(東暗門)으로 대동문과 대성문 사이의 해발 567m 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. 그 아래에 보국사(輔國寺)가 있었다고 하여 지금은 보국문(輔國門)이라 불리고 있습니다.

 

⑧ 대동문(大東門)

북한산성 성문 중 동서남북 4개 방위 중 동쪽을 대표하고 있는 성문으로 우이동 진달래능선이 끝나는 해발 540m 지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. 지금의 문은 1993년에 문루(門樓)를 갖추는 등 화려하게 복원되었습니다.

 

⑨ 용암문(龍岩門)

정확한 본래 이름은 용암봉암문(龍巖峰暗門)으로 무인대피소인 지금의 북한산장 부근 용암봉 기슭 해발 580m 지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. 과거 이 일대의 수비를 담당하던 용암사(龍巖寺)가 부근에 있었답니다.

 

⑩ 위문(衛門)

정확한 본래 이름은 백운봉암문(白雲峰暗門)으로 백운대와 만경대 사이의 안부에 위치하고 있으며, 북한산성 성문 가운데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습니다. 현재는 위문(衛門)이라 일컫고 있는데 일제 때부터 그렇게 불리어 왔다고 합니다.

 

⑪ 북문(北門)

북한산성 성문 중 동서남북 4개 방위 중 북쪽을 대표하고 있는 성문으로 원효봉(元曉峰)과 영취봉(靈鷲峰-현재 염초봉의 본래 이름) 사이의 해발 430m 지점 안부(鞍部)에 위치하고 있습니다. 지금 현재는 문루(門樓)가 폐기되어 없어진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.

※ 문루(門樓)는 성문 위에 지은 다락집으로 유사시 장수의 지휘소가 되며 성 밖의 적을 조기에 발견하고자 감시하는 기능을 가진 건축물입니다.

 

⑫ 시구문(尸柩門)

정확한 본래 이름은 서암문(西暗門)으로 대서문 북쪽 수문(水門)에서 원효봉으로 오르는 해발 180m 기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. 성안에서 생긴 시신을 내보내던 문이라 하여 주민들에게 시구문(尸柩門)이라고 불렸고 이 이름이 원래 성문이름인 서암문(西暗門)을 대신하여 고착화(?) 되어 현재도 성문에 '시구문'이라 쓴 현판이 걸려있습니다.

 

⑬ 수문(水門)

대서문 북서쪽 근처 산성계곡에 있었던 폭 50척(15.5m)에 높이 16척(5m)인 큰 규모의 수문(水門)으로 1925년 8월 을축년 대홍수(乙丑年大洪水)때 성 돌과 장대석 하나 남기지 않고 완전히 유실되었다고 합니다. 현재는 수구산장이라는 음식점에서 보이는 시구문과 대서문으로 오르는 계곡 양옆 산비탈에 남아있는 성곽의 흔적만이 이 두 성곽 사이의 협곡에 웅장했던 수문(水門)이 있었음을 추측하게 할 뿐입니다.

※ 성곽의 배수를 위한 시설로 규모가 크고 문의 형식을 갖춘 경우 수문(水門)이라고 하고 규모가 작은 것을 수구(水口)라 합니다.

 

⑭ 중성문(中城門)

원효봉(元曉峯)과 의상봉(義相峯)을 직선으로 그은 중간 지점에 해당되는 현재 산성주차장 일대에서 산성안 중심부에 위치한 중흥동 계곡을 향하여 오르는 중간 지대 길목에 위치한 성문입니다. 중성문(中城門)은 1998년 문루를 올리고 성벽도 말끔히 복원됐습니다.

      

            

  주요지점시각

 09:50 탐방관리소 출발~10:05 대서문~10:28 중성문~11:11 가사동암문~11:55 부왕동암문~12:43 청수동암문  (휴식 25분)~13:31 대남문~13:43 대성문

~14:00 보국문~14:11 대동문~14:40 용암문~15:22 위문(백운동암문)~16:18 북문~17:05 시구문(서암문)~17:20 수문지

출처 : 덕수고등학교60회 동창회
글쓴이 : 이복규 원글보기
메모 :